2025년 4월 13일 (일)
“신협·농협·수협 5년간 횡령 286억, 고발 60% 그쳐”

“신협·농협·수협 5년간 횡령 286억, 고발 60% 그쳐”

기사승인 2022-09-30 10:34:16 업데이트 2022-09-30 11:29:47
자료=황운하 의원실 제공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대전 중구, 국회 정무위원회)은 시중 5대 은행 뿐만 아닌 상호금융권에서도 은행 횡령 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지만 형사고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금융당국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금융감독원(금감원)이 황운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2년 8월까지 상호금융권 은행인 신협에서 58건(78억원), 농협 60건(154억원), 수협 20건(53억800만원)의 횡령사고가 발생했다. 총 금액은 286억3800만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횡령금액 회수현황은 신협 52억3000만원, 농협 106억8400만원, 수협 22억2800만원으로 수협이 41.97%로 회수율이 가장 저조했다.

횡령사고에 대한 고발 현황을 살펴보면 신협은 58건 가운데 38건, 농협은 62건 중 26건, 수협은 20건중 12건을 고발했다. 또한, 신협과 수협의 고발율은 60%대인 것에 비해 농협은 41.94%로 사고금액이 가장 높음에도 고발율이 현저히 낮아 횡령사고에 대한 법적조치가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감독원 측은 상호금융업권의 횡령사고에 대해 “주로 특정 업무 담당자의 장기간 동일업무 수행, 영세조합의 인력 부족 등 자체 내부통제 시스템 운영이 미흡하기 때문에 발생한다”며, “내부통제 구성 부문별 취약 요인을 파악하고 내부통제 개선방향을 마련 중”이라 밝혔다.

황운하 의원은 “시중 5대 은행뿐만 아니라 상호금융업권에서도 횡령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에도 고발율은 60%대에서 그치고 있다”며,“금융감독원이 상호금융중앙회의 관리감독 기능에 실효성이 있는지 의심된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황운하 의원은 “상호금융은 조합원 사이의 원활한 자금 융통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만큼 업권 특성에 맞는 횡령사고 근절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황운하 의원은 지난 21일 시중 5대 은행의 횡령사고에 대한 법적조치 미비를 지적하며, 관련 프로세스 개선을 촉구한 바 있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尹,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지하상가서 30분 산책…사저 복귀 후 첫 외부 활동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사저로 복귀한 지 사흘째인 지난 13일 경호팀과 함께 지하상가에 모습을 드러냈다. 사저로 복귀한 후 첫 외부 활동이다. 14일 JTBC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전날 오후 2시 10분쯤 남색 패딩 점퍼에 운동화 차림으로 지하상가에 모습을 드러내 30분가량 산책을 했다. 그는 산책에 나서며 경호팀 5명을 대동했다. 김성훈 경호차장을 비롯한 경호팀이 경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경호처에선 김 차장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