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의 알뜰폰(MVNO) 서비스 리브엠의 사업 지속 여부가 12일 최종 결정된다. 금융위원회가 알뜰폰 서비스를 은행의 부수업무로 지정할 경우 리브엠은 '시한부' 서비스를 벗어나 정식서비스로 출범한다. 이는 은행의 알뜰폰 시장 진출 장벽을 무너 트리는 결과를 불러올 예정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12일 정례회의에서 알뜰폰 업무를 은행의 부수업무로 지정하는 안건을 상정·의결할 예정이다. 앞서 금융위 혁신금융심사위원회는 지난 4일 전체회의에서 KB리브엠이 알뜰폰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정식 사업을 승인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금융위원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혁신위를 이미 통과한 만큼 부수업무 지정은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리브엠은 2019년 국민은행이 출시한 알뜰폰 서비스다. 현재 은행에서는 금산분리 규제에 따라 알뜰폰 서비스 출시가 불가능하다. 경제의 '혈맥'인 금융이 산업을 소유할 경우 산업 부실화의 위험이 금융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그동안 금산부리 규제를 엄격히 지켜왔다. 하지만 IT기술의 발달은 금융 환경의 변화를 불러왔고, 금산분리 규제가 혁신 금융서비스의 출현을 가로막는 다는 지적이 커지면서 규제 완화의 움직임이 시작됐다.
금융당국은 소비자의 편익을 증대할 수 있는 사업에 한해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통해 기존 규제 적용을 한시적으로 유예했다. 리브엠은 이를 통해 국내 시중은행이 금융업 밖으로 진출한 첫 사례다. 그 결과 리브엠은 출시 6개월 만에 7만명의 가입자를 기록하고, 출시 4년째에 접어든 현재 40만명이 넘는 가입자가 이용하고 있다.
리브엠이 단기간에 40만명에 달하는 가입자를 끌어모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국민은행의 전국적인 서비스망과 저렴한 요금제가 있다. 리브엠은 전국에 존재하는 국민은행 점포 어디에서나 가입이 가능하고, 월 6~7000원의 요금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기존 알뜰폰 사업자들이 국민은행의 알뜰폰 요금을 두고 ‘원가보다 싼 저가 출혈 경쟁을 벌인다’고 불만이 나올 정도다.
국민은행은 “리브모바일은 2019년 알뜰폰 시장 진출 이후 국민의 가계 통신비를 절감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 방향에 맞춰 알뜰폰 시장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왔다”며 “알뜰폰 최초 5G 요금제와 워치요금제를 출시, 알뜰폰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금융과 연계한 다양한 상품과 24시간 고객센터 운영 등 고객 지향적인 서비스로 시장 활성화와 고객 만족도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알뜰폰 추가 진출, 후발 주자라...'고민'
은행권은 알뜰폰 시장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금융과 통신의 결합을 통해 고객들에게 한 층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서다. 국민은행을 제외하고 직접적인 진출 권한이 없던 은행들은 대안으로 통신사와 제휴를 통해 알뜰폰 시장에 간접적으로 진출했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9일 알뜰폰 요금제 비교 플랫폼 고고팩토리와 요금제를 출시했다. 이에 앞서 신한은행은 KT 및 KT알뜰폰사업자와 손잡고 지난해 알뜰폰 요금제를 선보였다. 금산분리 규제를 적용받는 하나·신한은행은 알뜰폰 사업자의 판매 채널로 시장에 진출한 상황이다. 상호금융권에서도 신협중앙회가 지난달 한국케이블텔레콤과 제휴해 알뜰폰 요금제를 출시했다.
다만 은행들은 알뜰폰의 부수업무 지정을 앞두고 고민에 빠져있다. 금융과 통신의 결합 시너지는 기대되지만 후발 주자로서 시장에 직접 진출하기 부담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은행의 알뜰폰 시장 진출에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의 반발이 커 상생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국민은행이 이미 40만명의 고객을 흡수하는 등 선발 주자가 이미 시장에 자리잡은 상황에서 후발 주자로서 그 정도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지 담당부서에서 고민하는 것 같다”며 “더욱이 기존 알뜰폰 업체들이 생존권을 이유로 은행의 알뜰폰 시장 진출을 반대하고 있어 무리하게 추가로 진출해야 하는지 부담이 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도 “직접 진출할 경우 좀 더 낮은 요금제와 고차원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겠지만 기존 중소 알뜰폰 업체들의 퇴출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상생을 중요시하는 최근 사회적 분위기에 부합하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