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화)
박형준 부산시장, 유엔환경계획 사무총장 접견···자원순환 정책 논의

박형준 부산시장, 유엔환경계획 사무총장 접견···자원순환 정책 논의

기사승인 2024-11-26 11:12:44
박형준 부산시장과 유엔환경계획 사무총장 접견. 부산시
박채오 기자
chego@kukinews.com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 25일 오후 6시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잉거 안데르센(Inger Andersen)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을 만나 부산시 자원순환 분야 선도 정책의 국제사회 확대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기후변화·환경오염·생물다양성 등 유엔의 환경 이슈를 총괄하는 국제기구로 1972년 설립됐다. 

잉거 안데르센 총장은 지난 25일부터 오는 12월 1일까지 이어지는 '유엔 플라스틱협약 제5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INC-5)' 회의 참석차 방한했다.

INC-5는 유엔환경총회(UNEA)에서 5차례의 협상회의를 통해 2024년 말까지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다루기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만들기로 합의하고 협약의 성안이 목적인 마지막 회의다.

박 시장은 이날 접견에서 안데르센 총장에게 시가 추진하는 자원 재활용, 수소 경제 등 탄소중립 정책과 성과를 소개했다. 특히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센터 사업, 전국 유일의 플라스틱 연구단지인 자원순환(post-플라스틱) 클러스터 조성 추진 등 세계적(글로벌) 모범사례를 공유했다.

또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센터 사업처럼 폐플라스틱 재활용과 노년층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는 정책이 전 세계에 더욱 알려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잉거 안데르센 사무총장은 "부산시의 환경정책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유엔환경계획(UNEP)과 부산시가 향후 협력을 확대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박채오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트럼프 관세’가 게임업계에 불러올 딜레마

국내 게임업계가 딜레마에 놓였다. ‘보장된 시장’ 중국과 ‘기회의 땅’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게임업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에 최대 14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대(對) 중국 기조가 거세짐에 따라 관세 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