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의료를 국가전략으로… ‘醫토피아’ 열리나

정밀의료를 국가전략으로… ‘醫토피아’ 열리나

기사승인 2016-09-04 20:45:58 업데이트 2016-09-05 11:39:10

[쿠키뉴스=전미옥 기자] 최근 정부가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를 발표한 가운데, 그 중 하나인 ‘정밀의료’가 주목을 받고 있다. 

정밀의료는 개인의 유전체정보와 진료정보를 고려한 맞춤의료(유전체 의학)와 건강, 생활환경, 습관(Lifelog)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모바일 헬스케어)가 통합된 맞춤형 예측 의료(예방·진단·치료) 서비스를 의미한다. 지난해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본격 추진을 선언하며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특히 의학계에서 정밀의료는 진료의 정확도와 치료 효과를 동시에 높이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으로 여겨지고 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앞으로 5년 내에 국민 건강정보와 AI(인공지능)기술을 접목해 맞춤형 정밀의료 서비스가 개발된다. 이를 위해 우선 정부는 ‘정밀의료 코호트’ 구축에 나선다. 국민들의 성별, 연령, 유전정보, 생활습관 정보 등 특성을 공유하는 집단별 정보를 수집해 연구 및 신약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연구자원 연계·활용시스템 구축이 ‘정밀의료 코호트’ 구축의 핵심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전국민 건강보험제도를 바탕으로 국민건강정보, 인체자원정보 등 정밀의료를 위한 인프라가 갖춰진 상태였다. 하지만 각 기관과 연계가 미흡하고 정보가 표준화돼 있지 않아 정보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번 정밀의료 코호트 구축을 통해 정부는 개별기관이 보유한 유전정보(10만명), 의료정보(병원), 건강정보(약 100만명), 생활환경·습관 정보를 ‘정밀의료 정보통합 시스템’ 하나로 관리한다. 또한 이를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도록 표준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정부는 미국 100만 코호트(구축예정), 일본 15만 코호트(기구축)를 기반으로 국제공동연구 컨소시엄도 추진 중이다.

맞춤형 의료를 위한 의료기술 개발 지원에도 적극 나선다. 정밀의료 관련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밀의료발전특별법’도 추진한다. 정부는 올해 말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분석) 기반 유전자 검사법에 건강보험을 적용할 예정이며, 유전체 의학,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등 정밀의료 전문가 양성을 위한 특성화대학원도 설립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기존 전문가에 대한 재교육 과정 마련도 계획하고 있다. 

지난달 24일 보건복지부는 내년도 250억원의 예산을 신청한 상태며 현재 5개 과제에 대한 예산 타당성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와 같은 정밀의료분야에 정부는 5년간 4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지원할 방침이다.

정밀의료를 통해 암 부터 정복에 나선다. 정부는 한국인 3대 암(폐암, 위암, 대장암)과 관련한 1만 명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항암 진단·치료법이 개발되고 실제 환자에 적용한 환자는 유전체, 생활습관 등 자신의 특성에 맞는 치료법과 의약품을 처방받게 된다. 치료효과는 높이고 부작용 등 불필요한 비용은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측해 이에 맞는 건강관리로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도 있다.

‘만성질환 건강관리서비스 프로그램 및 첨단 모바일 기기’도 개발한다. 직장인, 신고령층(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디지털 도구에 적응력이 향상된 50∼60대 인구), 암 생존자들이 그 대상이다. 

또한 올 초 이세돌 기사와 바둑대전으로 화제가 됐던 AI 인공지능 기술도 활용된다. 정부는 국내외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정밀의료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개인 맞춤형 진단과 처방을 지원하는 ‘정밀의료 진단·치료 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도 오는 2021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시스템이 실제 환자 치료 등 임상에서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국내 연구중심병원을 중심으로 전임상·임상적 유효성 검증도 진행된다.

이러한 기반이 마련되면 제약기업은 유전체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신약개발에 활용할 수 있어 신약개발 성공확률을 높이고, 유전질환 등 난치병 치료약 개발 가능성도 한층 높아진다. 연구자 또한 글로벌 표준에 맞는 다양한 연구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 높은 수준의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정부의 정밀의료 발전 추진에 대해 의료계와 산업계는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먼저 산업계는 정밀의료를 기반으로 한 전반적인 헬스케어 산업이 진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홍진 인성정보 U헬스산업본부 이사는 “모바일 등 스마트플랫폼을 통한 맞춤형 ‘건강관리’ 영역은 이제 막 시작된 새로운 시장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특히 새로운 기술의 수용도가 높고 IT기술 수준도 상당하기 때문에 의료와 ICT, 심리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으로 세계 시장에서도 경쟁력있게 성장할 역량이 충분하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또한 김 이사는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의료정보, 데이터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료계는 유전체 의학 발전 및 빅데이터 활용으로 의료현장의 질병 치료효과를 높이는 등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주현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은 “체계적인 한국형 암 치료시스템을 만드는 시도는 의료현장에서 환자 치료의 폭을 넓히는 일이므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대변인은 “다만 국내의 의료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공익을 위한 것인데 국민의 의료정보 등을 산업계에 개방하는 것은 의료영리화의 수순이 될 수 있어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