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김태구 기자] 굵직한 금융권 이슈가 23일 금요일 하루를 강타할 전망이다. 금융노조 9.23 총파업, 우리은행 민영화 예비입찰 등이 예정돼 있어서다. 또한 이날 박근혜 대통령이 서민관련 행사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성과주의 연봉제 등 금융개혁과 관련된 대통령의 발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23일 오전 10시 30분에는 성과주의 연봉제 도입을 반대하는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의 은행권 총파업이 진행된다. 이어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한 지분인수 투자의향서 접수가 이날 오후 5시에 마감된다. 이와 함께 서민관련 행사도 예정돼 있다.
이날 가장 큰 이슈는 금융노조의 총파업이다. 노조측은 9만명 정도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15만 금융인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수치로 비조합원과 휴가자 등을 제외하면 은행 직원 대부분이 참여하는 셈이다.
노조는 기업은행과 농협은행의 경우 조합원의 70~90% 정도, 국민·신한·우리·KEB하나은행 등 시중 은행들도 조합원 30% 이상이 파업에 동참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경우 점포 축소 및 거점 점포 운용 등 영업 차질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은행들은 비노조원, 본부부서 인원 및 퇴직직원 활용 방안, 지점간 인력 지원 등으로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이에 반해 은행측은 영업에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의 경우 파업 참여율은 10% 수준으로 높지 않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한 농협과 기업은행도 최대 30%를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일반 영업점 직원이 10명 정도 수준인데 조합원이 아닌 지점장과 부지점장을 빼면 1~2명 정도 빠지는 수준에 불과하다”며 “파업 참여 인원으로 인한 영업 공백은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휴가 등으로 직원이 자리를 비우는 경우와 별반 차이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이번 총파업에는 전산 및 IT 관련 부서 직원은 참여하지 않는다. 노사 합의 사항으로 국가 기간산업 부문의 근무 인원은 파업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채널을 활용한 은행 업무는 정상적으로 운영된다.
◇ 막장으로 향하는 노사정… 朴 대통령 입에 쏠린 눈
파업에 앞서 열리는 서민관련 행사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장을 포함 전 은행권 수장들이 이 자리에 동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 자리에 서민금융지원에 대한 사항뿐 아니라 그동안 끊임없이 강조했던 금융개혁과 관련된 발언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경우 이날 총파업과 시발점이 된 성과주의 연봉제 도입과 관련된 내용도 포함될 것이란 전망이다.
박 대통령이 노사 대립의 어떠한 해법을 제시할지 관심이 쏠리는 부분이다. 총파업에 앞서 노사정이 첨예한 대립을 거듭했기 때문이다.
이번 파업에 앞서 지난 21일 임종룡 위원장은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을 포함해 산업·기업·국민·KEB하나·농협·우리·신한·SC·씨티은행 등 7개 은행의 은행장이 참석한 가운데 금융노조 파업 관련 은행권 상황점검회의를 열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 그는 노조를 향해 “저성장, 저금리로 은행산업은 현재 위기 상황”이라며 “금융노조가 성과연봉제 논의 자체를 거부하고 파업이라는 극단적인 수단을 동원한 것은 은행산업의 경쟁력을 저하할 뿐만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훼손시킬 우려가 크다”고 비판했다.
이어 “법상 무노동무임금 원칙 준수 방침을 명확히 하고 근태관리 등을 철저히 해 불법적인 파업참여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며 “파업 독려 과정에서 불법행위로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징계 및 민형사상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총파업을 강행하는 노조에 대해 사실상 선전포고를 한 겪이다.
이에 대해 노조는 22일 임 위원장을 노조법과 형법 위반으로 검찰에 고소하며 맞받아쳤다.
금융노조는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1일 은행장들을 모아놓고 ‘기득권을 위한 파업은 정당성이 없다’는 등 금융노조의 총파업을 근거 없이 비방하고 금융노조 파업사태를 막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요청했다”며 “은행장들에게 조합원들의 합법적인 금융노조 총파업 참여 방해를 지시한 것은 직권남용과 금융노조의 정당한 권리를 막는 범죄행위”라고 주장했다.
◇ 정부 눈치만 보는 우리은행 노사
우리은행은 이번 총파업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날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한 지분인수 투자의향서 접수 신청이 마감되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한화생명, 한국금융지주와 같은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외국계 투자자 등 7~10군데 정도가 우리은행 지분 인수 의향을 밝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제시한 매각 지분 30%선은 무난히 넘길 전망이다. 이 경우 지난 2010년부터 7년 동안 4번의 실패를 거듭한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다만 사측은 이날 예정된 총파업으로 직원 이탈이 많을 경우 ‘강성노조’라는 이미지와 우리은행 주가 하락 등 민영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요소를 걱정하는 분위기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우리은행 민영화는 직원들의 숙원”이라며 “총파업에 따라 LOI를 제출하는 기업이 주저하지 않을까라는 우려가 많기 때문에 총파업에 참여하는 직원들이 다른 은행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이어 그는 “우리사주조합의 형태로 직원들이 은행 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신들의 재산상 불이익을 감수하면서까지 총파업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우리은행 노조관계자는 “우리사주는 우리사주고 성과연봉제는 성과 연봉제다. 조합원들이 총파업에 참여하는 것이 민영화에 걸림돌이라고 사측에서 선전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며 “사측 주장이 그렇다고 하더라도 성과주의 반대에 대한 직원들의 의지를 막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ktae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