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적 식생활의 보편화와 고령화에 따라 남성 암 발병이 증가하면서 지난해 전립선암이 남성 암 발생률 5위를 기록했다. 전립선암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적 방법인 근치적 전립선절제수술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사람마다 전립선의 모양과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전립선암 절제수술을 받은 후 수술 결과에서도 환자마다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개복수술과는 달리 ‘로봇수술’은 전립선의 형태에 관계없이 치료 예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팀은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전립선암 치료를 위해 근치적 전립선절제술을 받은 환자 3324명을 대상으로 개복수술과 로봇수술의 수술결과를 비교한 결과,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암 조직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결과가 개복수술 보다 우수하다고 19일 밝혔다.
근치적 전립선절제수술은 암의 완벽한 제거와 완치를 목적으로 전립선과 그 주위 조직을 절제하는 것을 말한다. 절제한 후에는 전립선에서 요도(막요도)로 이어지는 전립선의 끝 부분(전립선 첨단부)에 대해 병리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검사결과 이 부위에서 암세포가 관찰될 수 있는데 이를 두고 ‘절제변연 양성’이라고 한다. 이는 암 조직이 불완전하게 절제됐음을 의미하며, 수술 후 남겨진 조직에 암세포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 좋지 않은 예후를 유발하는 인자로 보고 있다.
이상철 교수팀은 로봇수술 2320명, 개복수술 1004명의 환자 자료를 통해 절제변연 양성 발생률을 분석했다. 특히 전립선, 신장 등 비뇨의학 수술에 도입돼 활용하고 있는 로봇수술이 절제변연 양성 감소에 긍정적 효과를 갖는지 개복수술과 비교했다.
연구결과, 전립선 첨단부의 절제변연 양성 발생률은 개복수술을 받은 환자군에서 17.5%, 로봇수술 환자군에서 12.3%로 나타났다. 로봇수술에서 암 세포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연구팀은 전립선의 첨단부 형태에 따라서도 절제변연 양성 발생률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첨단부는 형태에 따라 총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1형: 전립선 첨단부가 막요도 전면부와 후면부를 모두 덮는 형태 ▲2형: 첨단부가 막요도 전면부만 덮는 형태 ▲3형: 첨단부가 막요도 후면부만 덮는 형태 ▲4형: 첨단부가 막요도를 덮지 않는 형태)로 나뉘는데, 개복 및 로봇수술 그룹 모두에서 전립선 첨단부가 막요도의 후면부만 덮고 있는 3형 첨단부를 갖는 경우에 절제변연 양성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통계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군에서는 전립선 첨단부의 형태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없었지만, 개복수술에서는 다른 형태의 첨단부와 달리 3형 첨단부만 절제변연 양성률이 높았다.
이상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전립선 첨단부의 형태가 전립선암 수술 후 종양학적 예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며 “3형 첨단부와 같이 특정 형태를 갖는 환자의 전립선 첨단부를 박리할 때는 보다 세밀한 수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이 교수는 “전립선암의 형태나 필요에 따라서 로봇수술을 적용하면 조직의 정밀한 박리를 유도하고 다른 장기는 손상을 최소화해 결과적으로 암의 재발 가능성을 낮추고, 치료 예후는 전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세계 내비뇨기 학회지(Journal of Endour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