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주식(비상장 회사)에 대한 투자는 리스크가 크면서도 상장에 성공하면 어떤 주식 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때문에 일부 투자자들은 장외주식에 큰 관심을 갖는다.
실제 금융투자협회가 운영하는 K-OTC에서 직접 장외주식을 매매하는 투자자들은 1년 새 많아지는 추세다. K-TOC 가중주가평균은 이달 7일 기준 5036원으로 지난 1년 전(3391원) 대비 48.51% 증가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상장이 사실상 거의 확정됐거나 상장 가능성이 높은 우량한 장외주식을 선택하라고 조언한다. 교보금융그룹의 핵심 교보생명, 정의선 현대차그룹 부회장이 최대지분을 갖고 있는 현대엔지니어링 등은 상장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 교보생명, 자본여력 확충 위해 상장 가능성↑
국내 보험업계에서 빅3로 꼽히는 생명보험사 교보생명은 보험업계 차기 상장 후보로 줄곧 언급돼 온 장외주식이다.
교보생명은 자산 101조5659억원(지난해 3분기 기준)로 삼성생명, 한화생명에 이은 업계 3위를 기록하고 있으나 규모 대비 자본여력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교보생명은 RBC(지급여력) 비율은 255.6%로 삼성생명(330%) 뿐만 아니라 상장 생명보험사 평균 RBC(281.3%)에 못미친다. 교보생명은 자본총계는 8조8706억4600만원이다.
오는 2021년 국제회계기준(IFRS17) 시행으로 재무 상황에 대한 규제가 기존보다 까다로워질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업계 안팎에서는 교보생명의 자본확충을 위한 상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보생명은 상장에 대해 서두르지 않는 입장이다. 교보생명 신창재 회장은 지난 1월 31일 ‘금융그룹 통합감독 간담회’에서 “교보생명 상장 시기는 보험업 신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 등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상장은 이르다는 입장을 못 박았다.
◇ 현대차그룹 장외주식, “정의선 승계 위한 자본확충 필요성 높아졌다”
장외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에게 관심이 쏠리는 종목은 현대차그룹 내 비상장종목이다. 특히 정의선 부회장이 높은 지분을 갖고 있는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오토에버 등을 꼽고 있다.
이 가운데 현대엔지니어링은 정의선 부회장이 최대지분을 갖고 있기에 매력도가 높은 종목으로 불린다. 정의선 부회장의 현대엔지니어링의 지분은 11.72%로 개인 최대주주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은 과거 이재용 부회장의 삼성SDS와 비슷한 절차를 걷고 있다고 말한다.
실제 이재용 부회장은 액면분할과 유상증자, BW(신주인수권부 사채) 저가 인수, 계열사 합병 등으로 삼성SDS 주식을 주당 평균 1180원에 구입했다. 이 부회장이 삼성SDS 지분(11.25%)을 보유하는데 103억원에 비용을 투자했다. 이후 삼성SDS는 상장 첫날 주가가 32만7500원으로 거래를 마감하면서 평균 투자액의 약 280배 시세 차익을 거뒀다.
소영주 한국장외주식연구소 소장은 “이재용 삼성부회장의 주가 급증으로 논란이 된 삼성SDS도 비슷한 절차를 거쳐왔다. 삼성은 상장전에 중요 매출을 창출하는 일감들을 삼성SDS에 몰아 주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대엔지니어링 측은 회사의 상장 계획에 대해 없다고 잘라말했다.
또한 정 부회장이 지분 19.46%(개인 최대주주)를 갖고 있는 현대오토에버도 상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 분류된다. 이 기업은 현대자동차(28.96%), 기아자동차(19.37%), 현대모비스(19.37%) 등이 높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오토에버의 경우 현대차그룹 내 일감몰아주기로 매출 성장을 이뤄냈다. 지난 2016년 내부 거래 비중은 89.4%에 달했다. 이후 정부의 일감몰아주기 규제대상이 적용되자 당시 9.68% 지분을 갖고 있던 정몽구 회장이 자신의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
오너 일가 지분이 많다고 해서 상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오너 리스크가 부각돼 상장이 무산되는 경우도 왕왕 있다. 화장품업체 네이처리퍼블릭은 지난 2015년 상장을 목표로 그해 8월 코스피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이사가 원정 도박 혐의로 구속기소되면서 무산됐다. 당시 네이처리퍼블릭 지분도 일부를 주당 14만원 이상의 가격에 개인투자자에게 판매했던 유안타증권도 동양사태 이후 투자자들의 원성을 들어야 했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