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화)
김규환 “한수원 및 5개 발전사 ‘위험의 외주화’ 심각”

김규환 “한수원 및 5개 발전사 ‘위험의 외주화’ 심각”

기사승인 2019-10-15 10:29:36 업데이트 2019-10-15 10:29:40

2013년부터 2019년 7월까지 한수원 및 5개 발전사 안전사고 사상자 662명
협력사 직원 사상자 중 하도급 직원 395명, 전체 사상자의 60% 달해

지난 8월 19일 ‘고 김용균 사망사고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석탄화력발전소 특별노동안전조사위원회’(특조위)가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위험의 외주화’ 문제가 다시 제기된 가운데, 한국수력원자력과 5개 발전사(남동·남부·동서·서부·중부발전)의 산업안전사고 사상자 중 94.5%가 협력사 직원(62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규환 의원이 한수원과 5개 발전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2013년~2019년 7월 6개 사의 산업안전사고 사상자 수는 총 662명이었다. 그중 발전사 직원은 36명(5.4%)이며 사망자는 1명도 없었다. 반면 협력사 직원은 626명이며 사망자는 35명에 달했다.

발전사/협력사 직원별 안전사고 현황을 보면, 한수원에서 협력사 직원 사상자 수가 가장 많이 나왔다. 한수원 직원의 경우 지난 6년간 24명의 부상자가 나온 반면, 협력사 직원의 경우 224명의 사상자가 나왔고 그 중 11명이 사망자였다. 5개 발전사의 경우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협력사 직원을 도급/하도급으로 분류했을 때 하도급 직원에서 사상자 수가 더 많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협력사 직원 간에도 도급/하도급 여부에 따라 사상자 수에서 큰 차이를 보인 것이다.

김규환 의원은 “협력사 직원을 중심으로 사고가 잇따르는 비극을 더 이상 되풀이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또한 “안전한 나라를 내세우며 출범한 문재인 정부에서도 산업안전사고는 계속되고 있는데, 보다 근본적인 안전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며 대책을 촉구했다.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트럼프 관세’가 게임업계에 불러올 딜레마

국내 게임업계가 딜레마에 놓였다. ‘보장된 시장’ 중국과 ‘기회의 땅’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게임업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에 최대 14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대(對) 중국 기조가 거세짐에 따라 관세 범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