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청년 10명 중 9명 타지역서 전입

세종시 청년 10명 중 9명 타지역서 전입

기사승인 2019-12-31 11:25:07

세종특별자치시내 청년 10명 중 9명은 다른 지역에서 전입했고, 청년 10명 중 6명 이상은 대전과 수도권에서 들어온 것으로 나타났다(도표). 

세종시는 청년의 사회‧경제적인 변화와 삶 전반에 대한 실태를 파악해 청년정책수립에 활용하고자 ‘2019년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를 실시, 그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결과를 보면, 세종시 내 15세 이상 40세 미만 청년의 90.6%가 다른 지역에서 전입했고, 전입 전 거주지는 대전 35.9%, 수도권 31.7% 순으로 확인됐다.

우선, 세종시 내 청년 인구수는 11만 1,670명으로 전체의 34.3%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동(洞) 지역 내 거주 청년이 8만 5,059명으로, 읍(1만 4,716명), 면(1만 1,895명) 지역을 압도했다.

청년의 정주 의사에 대해 ‘거주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64.5%였다. 거주 계획 이유는 ‘학교 및 직장, 사업장 위치’(54.5%)를 가장 많이 들었다.

자가용 이용 시 불만족 이유는 ‘좁은 도로’(31.3%), ‘방지턱, 속도 제한도로’(30.6%) 순이었다. 시내버스(BRT포함) 불만족 이유는 ‘노선이 실용적이지 못해서’(48.6%), ‘배차 간격이 길어서’(32.1%)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는 ‘대학진학’(85.4%), ‘취업·창업’(12.2%) 순이었고, 취업·창업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고졸우선채용’(32.2%), ‘직업교육훈련강화’(18.1%) 순이었다.

스트레스 정도는 ‘느꼈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52.6%였다. 스트레스 원인으로 15∼24세는 ‘학업 및 성적’(78.8%), 25∼39세는 ‘직장·사업장 일’(51.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성별 스트레스 원인으로는 남성은 ‘직장·사업장 일’(57.2%), 여성은 ‘육아 및 가사’( 31.1%)를 가장 많이 들었다.

청년건강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건강검진비용 지원’(31.9%), ‘정신·심리상담’(25.9%), ‘체력단련 비용지원’(21.0%) 순으로 조사됐다.

문화 여가를 즐기는 지역은 ‘세종’(48.3%), ‘대전’(22.4%), ‘수도권’(18.7%) 순이다. 세종에서 문화 여가 생활을 하지 않는 이유는 ‘문화시설부족’(44.3%), ‘축제, 공연, 전시 콘텐츠 부족’(24.2%) 순이었다.

취업한 청년의 산업현황은 ‘제조업’이 18.2%,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5.2%이었다. 직업 현황은 ‘전문가 관련 종사자’ 39.9%, ‘사무종사자’ 30.8%로 나타났다. 

직장을 그만둔 사유는 ‘결혼, 육아, 학업 등 개인사정’이 70.2%로 가장 높았고, 미취업 기간 중 활동으로는 ‘가사, 육아, 가족돌봄’ 54.4%, ‘시험준비’ 20.5%, ‘집에서 그냥 보냄’ 7.6% , ‘구직활동’ 7.4% 순이었다.

희망 일자리 지역은 세종시내 36.9%, 세종시외 15.0%였고, 서울 48.6%, 수도권(인천, 경기) 18.6%, 대전 18.6% 순이었다. 

세종시외 일자리를 희망하는 이유로 ‘원하는 직종·업종 일자리 부족’이 42.1%로 가장 높았다. 


청년 취업·창업 활성화 정책으로 ‘기업유치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확대’가 39.2%, ‘창업·창직 지원을 통한 일자리 확대’ 19.2%, ‘공공부문 채용확대’ 17.5%이었다.

구직활동지원금 지원 관련 문항에서는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44.6%로 가장 높았다. 청년센터 조성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도 67.0%로 높았으며, 청년센터 조성 희망지역으로는 동(洞) 지역이 4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나타난 청년의 사회적, 경제적 삶 전반에 관한 실태를 청년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주요 조사내용은 ▲기본사항 ▲주거와 교통 ▲가족 ▲교육 ▲건강 ▲문화와 여가 ▲삶의 질 ▲노동 ▲희망일자리 ▲취업지원정책 ▲특성 등 11개 부문 54개 문항이다.

한편, 이번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는 통계청 표준매뉴얼 사업으로 선정돼 충청지방통계청과 협업을 통해 6월 3일부터 17일까지 관내 청년(만15∼39세) 표본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34%p 이다.

최문갑 기자 mgc1@kukinews.com

최문갑 기자
mgc1@kukinews.com
최문갑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