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국내에 상륙한 지 37일이 지났지만, 국회 내 특위는 2월 26일에서야 생겼다. 이렇게 늦어진 주된 이유는 고작 ‘명칭’ 때문이다.
여야가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국회 특위를 설치하자고 합의한 것은 지난 5일이다. 벌써 20일도 전의 일이다. 이때 까지만 해도 국내 코로나19 확진 환자는 19명에 불과했다. 특위 명칭과 여야 간 위원 구성 비율 등 구체적인 부분은 다음날인 6일 다시 만나 논의하기로 했다.
6일 여야는 갈등을 빚고 특위 구성에 실패했다. 당시 더불어민주당은 ‘신종 코로나’로 명칭을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자유한국당(현 미래통합당)은 ‘우한 폐렴’이 명칭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말로는 여야 모두 초당적 협력을 외쳤지만, 결국 명칭의 문제로 특위 구성은 뒤로 밀렸다.
미래통합당은 매번 정부에게 전문가 집단의 말을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의사협회가 6차례 대정부 권고문을 통해 중국 입국을 전면으로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정부에 전했다. 미래통합당은 중국 입국을 전면으로 금지하지 않아 코로나19의 확산을 막지 못했다며 정부를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미래통합당은 의협이 사용하는 명칭은 따르지 않았다. 의협은 정부가 ‘코로나19’로 명명한 이후, ‘우한 폐렴’이나 ‘우한 코로나’ 등의 명칭을 단 한 번도 사용하지 않았다. WHO가 지난 11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COVID-19로 명명했고,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12일 ‘코로나19’라고 공식 명칭으로 결정한 이후 의협은 ‘코로나19’로 명칭을 통일했다.
그런데도 미래통합당은 명칭을 바꾸지 않고 ’우한 폐렴‘, ’우한 코로나‘로 지칭하고 있다.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들으라고 정부에 꾸준히 압박하면서 전문가가 부르는 병명도 통일하지 않고 있다. 전문가의 의견 중 자신들의 생각에 부합하는 내용만 쏙 빼서 달면 삼키고, 다른 내용은 쓰니 뱉는 꼴이다.
여야가 ‘명칭’으로 논쟁을 벌이는 사이 코로나19 확진 환자는 1000명을 돌파했고, 12명의 사망자도 발생했다. 헌정 최초로 국회가 폐쇄되기도 했다. 국내 첫 번째 확진 환자 발생 37일 후, 여야 첫 논의 20일 후에서야 겨우 ‘국회 코로나19 대책특별위원회’가 구성된 것이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국민의 경제적·물질적 피해와 심리적인 고통은 상당하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예산과 제도 지원 등 국회 차원의 종합 대책이 절실하다. 전문가의 의견을 곧이곧대로 듣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니지만, 취향대로 가려들어서는 안 된다. 결국, 국민을 위한 정책을 만드는 데 힘쓰길 바란다. 특위 활동기한은 20대 국회 종료 시점인 오는 5월 29일까지다.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