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부족을 호소하는 반도체 업계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사업들이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삼성전자는 27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3개 과학기술원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추진하는 반도체 계약학과는 학·석사 과정 통합이다. 반도체 공정 제어 기술을 중심으로 교육 과정이 구성된다. 학위 취득 기간을 기존 6년에서 1년 단축한 5년 과정으로 계획 중이다. 입학생에게는 등록금 등이 포함된 장학금이 지원된다. 졸업 후 삼성전자 입사가 연계된다. 양성 규모는 각각 GIST 연 30명, DGIST 연 30명, UNIST 연 40명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인재 양성을 위한 반도체 계약학과를 국내 대학과 협력해 운영해왔다. 삼성전자는 지난 2006년 성균관대학교를 시작으로 연세대학교, 카이스트, 포항공대와 채용 연계 협약을 맺었다. SK하이닉스도 고려대학교와 서강대학교, 한양대학교, 중앙대학교 등과 채용 연계 계약학과를 운영 중이다.
향후 계약학과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국내 반도체 업계는 양적·질적으로 지속해 성장 중이다. 삼성전자는 오는 2042년까지 경기 용인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도 용인 또 다른 지역에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120조원을 투자했다. 반도체에 대한 시설 투자가 이뤄질수록 이에 따른 개발·운영·유지보수 필요 인력이 늘어난다. 이는 협력사인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으로도 이어진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반도체 계약학과 확대 관련)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양한 교육 기관과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자체 반도체 아카데미를 통해 협력사 엔지니어 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을 진행 중”이라고 이야기했다.
반도체 업계의 인력 부족은 만성적이다.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필요한 반도체 인력은 약 1만4600명이다. 지난 2020년 기준, 반도체 업계의 연간 인력 부족은 1621명에 달했다.
정부에서도 이를 인지, 다양한 방법으로 인재 양성을 고민 중이다. 지난 21일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법’(산학협력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산업체가 채용을 조건으로 맞춤교육을 의뢰하는 경우 기존 일반 학과 정원의 20% 이내에서 한시 증원해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다. 계약학과가 아니더라도 계약 정원을 추가 증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민관 협력으로 현장 인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정부와 반도체산업협회는 다음달 반도체아카데미를 열 예정이다. 오는 5월부터 교육생을 모집한다. 미취업자는 물론 기존 취업자의 재직자 교육도 진행할 방침이다.
다만 인재의 양적 증가가 아닌 질적 양성이 더 중요하다는 시선도 있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산업에서 우수 인력이 계속 필요한 상황이다. 기업들이 인재를 조기 유치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 중”이라면서 “양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제조·생산 등 각 특성에 맞는 인재들이 양성되고 적재적소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이야기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