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4일 (월)
민생금융 자율프로그램, 기업은행 참가…694억원 규모

민생금융 자율프로그램, 기업은행 참가…694억원 규모

기사승인 2024-04-02 10:46:15
IBK기업은행 제공.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시중은행에서 진행하고 있는 민생금융지원방안 자율프로그램에 기업은행도 참여한다. 소상공인 초저금리대출 금리감면을 비롯해 다문화가정의 생활보조금과 학업 장학금 등을 포함해 총 694억원을 지원한다.

IBK기업은행이 지난 2월부터 실시 중인 민생금융지원방안 공통프로그램 이자 캐시백 지원에 이어 694억원 규모의 민생금융지원방안 자율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민생금융지원방안 자율프로그램은 보증료 캐시백 지원 등 416억원의 ‘은행자체 프로그램’과 서민금융진흥원 출연 및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지원 등 278억원의 ‘정책지원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기업은행은 ‘은행자체 프로그램’으로 △청년·장년 창업기업 및 소상공인 대상 보증부대출 보증료 캐시백 지원(197억원) △소상공인 초저금리대출 금리감면 지원(204억원) △다문화가정의 생활보조금과 학업 장학금 지원(15억원)을 실시한다.

보증료 캐시백 금액은 별도의 신청절차 없이 기업은행이 대상고객을 선별해 지급할 예정이다. 6만9000여개 기업이 혜택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소상공인 뿐만 아니라 여러 취약계층을 폭넓게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민생금융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수혜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KB·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들도 민생금융지원 자율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자율프로그램에 투입된 자금 규모는 4281억원으로 은행업권 전체 지원액의 약 72%에 해당한다.

자율프로그램은 △서민금융진흥원 출연과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지원 △소상공인·소기업에 대한 지원 △청년·금융취약계층 등에 대한 지원으로 구성된다. 

개별 은행의 자율프로그램 운영 규모를 보면 하나은행이 1563억원으로 가장 많으며 △신한은행 1094억원 △우리은행 908억원 △국민은행 716억원 △기업은행 694억원 △SC제일은행 307억원 △한국씨티은행 280억원 △카카오뱅크 199억원 △광주은행 121억원 △수협은행 67억원 △농협은행 19억원 △대구은행 3억원 순이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붕괴 나흘째 ‘광명 신안산선’…주민 대피명령에 학교는 휴업

신안산선 붕괴 사고 나흘째인 14일 현장 실종자 수색을 위해 소방당국이 밤샘 작업을 벌였다.이날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소방당국은 전날 오후 2시 10분 수색 재개를 위해 상부 안전펜스 및 낙하물 제거 등 조치에 돌입했다. 이어 오후 10시쯤 굴삭기 3대를 배치, 구조작업 위치 경사면을 확보했다. 40여분 뒤에는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덮개 작업을 마무리했다. 밤샘 작업에 이은 수색은 이날 오전까지 계속되고 있다. 지난 11일 오후 3시 13분 포스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