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봉황동유적 가야시대 대규모 토목공사 흔적 확인

김해 봉황동유적 가야시대 대규모 토목공사 흔적 확인

기사승인 2024-10-22 15:46:40

'김해 봉황동 유적'에서 금관가야시대에 대지 확장을 위한 대규모 토목공사를 벌인 흔적이 확인됐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는 김해 봉황동 유적(회현동주민센터 앞) 발굴조사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24일 발굴현장을 공개한다.

금관가야 왕궁이나 왕성으로 알려진 김해 봉황동 유적은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봉황대 구릉과 주변을 중심으로 수차례 발굴조사를 벌였다.

그동안 발굴조사를 통해 항구의 창고 터를 비롯해 야철 터와 건물 터, 조개무지, 환호(경계와 방어를 위해 파놓은 도랑), 토성, 지석묘 등 청동기시대부터 금관가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적물을 발굴했다.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는 봉황대 구릉 북동편(저지대)이 많은 양의 조개껍질을 섞어서 쌓은 대지를 조성하고 이를 확장한 사실을 확인했다.

대규모 토목공사 흔적은 가야시대 당시의 토목기술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연구소는 '가야왕궁터'로 알려진 봉황대 구릉 동편의 경사면과 평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대규모의 패각 성토층을 확인해 이를 규명하고자 세부조사를 벌여왔다. 

조개껍질을 쌓아 성토한 토목기술은 지반 강화를 위한 것으로 당시에도 대규모 토목공사가 가능했다는 점을 시사한다.


패각성토층의 최대 깊이는 4m에 이른다. 길이는 주변 봉황토성의 성벽까지 이어진다면 대략 100m가 넘는다. 성토는 주로 넓은 대지를 조성할 때 이용했던 기술이다. 주로 경주 황룡사터와 부여 금강사터 등 삼국시대 절터에서 많이 확인됐다.

봉황동 유적 성토층은 이들 유적보다 조성 시기가 앞서고 조개껍질을 섞어 사용한 점에서 차별화된다.

기존에는 탐색 트렌치(길쭉하게 판 홈)를 활용해 확인한 토층의 단면만으로 경사 성토 사실을 제한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가 진행한 조사는 밑지름 6~8m 내외, 높이 1m 내외의 둔덕을 쌓아 이를 중심으로 한 여러 개의 동심원 모양의 성토가 이뤄졌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소는 종전 봉황대 구릉 주변의 도시개발 과정에서 일부 확인했던 봉황토성의 토축 성벽 조사결과 5세기대에 봉황대 구릉 전체 둘레 1.5km 정도의 토축 성벽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대지 조성과 확장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발굴성과 공개 설명회에서는 그동안 발굴조사를 통해서 수습한 중요 유물도 함께 공개한다. 출토 유물은 당시 왕성 내의 생활과 의례, 음식 문화, 생산 활동 등을 엿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들이다.

이밖에 생활 토기와 의례행위 관련 유물, 화살촉 바늘 칼 손잡이 등 생활 공구로 사용한 골각기 유물, 철광석·송풍관 등 야철 작업과 관련한 유물 등도 공개될 예정이다.

김해시는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와 협력해 봉황동 유적의 지속적인 발굴조사와 자연과학적인 분석과 연구로 가야 왕성의 실체를 밝혀내기로 했다.

김해=박석곤 기자 p2352@kukinews.com 
박석곤 기자
p2352@kukinews.com
박석곤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