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사업재편 컨설팅 마무리…정부 주도 방안은 제외

석유화학 사업재편 컨설팅 마무리…정부 주도 방안은 제외

기사승인 2025-04-11 14:42:10
석유화학회사가 밀집된 여수국가산업단지 전경. 전남도 제공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한 석유화학 산업을 살리기 위해 추진된 컨설팅 용역이 마무리되면서 조만간 정부의 후속 지원책이 나올 전망이다. 다만 컨설팅 결과에도 정부 주도의 사업 재편 지원 등 근본적인 구조조정 방안은 제외된 것으로 확인돼 구조적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11일 석유화학 업계에 따르면, 한국화학산업협회는 최근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진행한 석유화학 사업재편 컨설팅 용역을 마무리하고 컨설팅 결과 보고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

이번 컨설팅 용역은 석유화학 산업의 과잉 설비 문제를 해결하고 구조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와 산업계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추진됐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수출 의존도가 높고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범용 제품 비중이 높아 가격 경쟁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제기돼 왔다.

특히 동북아시아 내 과잉 공급이 지속되며 설비 가동률이 하락하는 등 구조적 불황에 몰리자 속도감 있는 사업 재편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컸다.

이에 따라 이번 컨설팅 과정에서도 기업 결합 및 구조조정을 단행한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고 구조조정 시 발생하는 인력 문제를 지원하는 등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방향이 논의됐으나, 기업 간 이해관계와 사회적 파장을 고려해 최종안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지난달 진행된 컨설팅 중간 보고회에서 “기업들이 자율적인 사업 재편 방향과 실행 계획을 수립해 전달하면 구체적인 정책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보고서에는 대신 기업의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산업용 전기요금 감면 등 비용 부담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이 우선적으로 담겼다.

한국전력 전력 통계 최신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화학물질·화학제품 업종 전력 사용량은 4만1210GWh(기가와트시)로, 제조업 전체 사용량(26만1218GWh)의 15.8%를 차지한다. 주요 기업의 경우 연간 3000GWh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요금이 매출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4% 수준에 달한다.

보고서에는 이와 함께 친환경·고부가 제품 전환을 위해 연구개발(R&D) 시설에 대한 세액공제를 검토하는 방안과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등도 반영됐다.

석유화학 업계는 이미 투자 축소, 사업구조 재편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10월 말레이시아 합성고무 생산회사 LUSR 청산을 결정했고, 지난 2월에는 파키스탄 고순도테레프탈산(PTA) 자회사 LCPL을 매각했다. LG화학은 대산·여수 공장의 석유화학 원료 스티렌모노머(SM) 생산 라인 가동을 중단했으며, 나주 공장 알코올 생산도 중단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 석유화학 사업 재편 지원책에서 기업활력제고를 위한 특별법 완화를 통해 기업들의 사업 재편을 유도하고 3조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정부의 주도적 역할보다 설비 폐쇄와 사업 매각, 합작법인 설립 등 기업의 자발적 사업 재편을 측면 지원한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샀다.

한편, 산업부는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상반기 중 산업 경쟁력 제고 후속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김재민 기자
jaemin@kukinews.com
김재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