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출마를 선언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민주당이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병행해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들러리 경선’으로 가는 것 같아 대단히 유감”이라고 말했다.
14일 김 지사는 전날 오후 서울 여의도 대선 캠프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아름다운 경선을 희망했는데, 별 의미 없는 경선으로 가는 것 같아 유감”이라며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뽑기로 한 것에 관련한 입장을 밝혔다.
이어 그는 “국민경선은 민주당이, 나아가 국민의 자부심이었다”면서 “(민주당이) 역선택 등을 우려하는 건 불법 계엄과 내란 종식까지 끌어낸 국민들의 역량으로 봤을 때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국민경선으로 가야 한다”며 “(경선 룰 관려) 당원 투표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아는데 당원 여러분께서 바로 잡아주시기를 간곡히 호소드린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19대 대선 이후 국민경선(대의원·권리당원+국민선거인단 참여자) 방식으로 당내 경선을 진행해왔는데 이번 경선에서는 ‘당원투표 50%+국민여론 50%’로 경선룰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13∼14일 전 당원 투표와 14일 중앙위원회 온라인 투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특별당규 제정의 건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김 지사는 ‘경선 룰이 이대로 확정될 경우 경선에 참여하겠냐’는 질문에 “당원 투표 중이기 때문에 제가 어떻게 하겠다고 이야기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다만 지금 (투표가) 진행되고 있는 경선 룰은 그동안 민주당이 유지해왔던 전통과 많은 국민이 참여해야 한다는 원칙에 정면으로 위배된다”고 재차 지적했다.
그는 또 개헌과 관련해서는 “내란 종식(프레임)으로 개헌을 덮는 건 옳지 않다”며 “이번 대선에라도 합의 볼 수 있는 것들은 하면 좋고, 그게 안 되면 내년 지방선거에라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명 전 대표는 3년 반 전에 연대하면서 권력구조 개편과 정치개혁에 관한 합의를 봤다”며 “내란 잔불이 남아있긴 하지만 개헌을 내란 종식으로 덮는 건 개헌에 대한 의지가 강하지 않은 증거 아닌가 생각해 유감”이라고 했다.
김 지사는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대통령실·행정수도 세종시 이전 공약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해온 세력을 아우르는 '연정'(연합정부) 구성을 공약한 데 대해선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저는 이미 지역 균형 빅딜을 이야기하며 대통령실과 국회 세종시 이전을 주장했다”며 “대통령이 된다면 대통령실과 국회를 세종으로 옮기고, 대법원과 대검찰청도 이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