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권 광역철도는 기존 운영 중인 일반철도 선로를 개량해 전동차를 투입하는 비수도권 최초의 사업이다.
총 연장 61.8㎞ 구간에 정거장 7개소를 설치(개량)한다. 총 사업비는 1515억 원이다.
국토교통부는 대구시·경북도·철도공단·철도공사와 ‘경북 구미·칠곡~대구~경북 경산’을 잇는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의 원활한 건설 및 운영을 위한 협약을 지난해 12월 말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사업으로 대구·경북권역이 40분대 단일 생활권으로 연결되고, 특히 서대구역은 광역철도 외에 KTX고속철도 및 대구산업선과 공용으로 사용하는 허브역사로 계획돼 향후 지역의 교통거점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거장은 구미~사곡(新)~왜관~서대구(新)~대구~동대구~경산으로 하루 편도 61회 운행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국가(공단)는 광역철도를 건설하고 지자체는 차량소유 및 운영손실금 등을 부담하며 철도공사는 열차를 운행하는 등 기관별 역할이 정해졌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올해 본격적인 공사 진행과 동시에 전동차량을 제작하고 오는 2023년 상반기 준공 후 종합 시험운전을 통해 2023년 말 개통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김선태 철도국장은 “대구권 광역철도는 일반철도를 개량해 전동열차를 운영하는 고효율 사업으로, 국가-지방자치단체-공사·공단의 역할이 합리적으로 정립돼 원활한 사업 추진이 기대된다”며 “국가 균형발전 측면에서 현재 계획돼 있는 충청권 광역철도 등을 포함해 수요가 있고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을 경우 재정당국과 협의 등을 거쳐 광역철도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구시 윤정희 교통국장은 “2023년 개통에 차질이 없도록 차량 제작 등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하겠다. 이 사업으로 대구·경북 550만 시·도민이 실질적인 단일 생활권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며 “앞으로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걸맞은 교통 인프라 구축으로 지역 균형발전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북도 배성길 일자리경제실장은 “향후 통합신공항과 대구·경북 통합시대에 광역철도를 통해 대구·경북 도시 간 교통 불편을 해소하고 광역생활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대구권 광역철도가 대구·경북 상생발전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할 것”이라고 밝혔다.
tasigi72@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