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30년 가까이 전국 최하위에 머무르는 등 지역경제가 힘든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지역경제 산업의 주요 지표인 인구와 고용, 소득, 산업 분야의 변화를 분석한 ‘대구경제산업 주요지표 변화 분석’ 자료를 29일 발표했다.
대구 인구는 2014년부터 연평균 0.6%씩 감소해 2021년 기준 238만명으로 전국 7위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만 2만 4000여명이 대구를 떠났으며, 이 중 20~29세 청년인구 유출이 심각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취업자는 2021년 121만여명(전국 7위), 실업자는 4만 7000명(전국 6위)으로 고용상황은 전국 평균 수준을 보였다.
다행히 청년 고용률은 42.6%로 2014년 대비 5.2% 상승했고, 청년실업률은 7.1%로 2014년 대비 4.4% 감소했다.
대구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2300만원(전국 17위)으로 30년 가까이 전국 최하위에 머물렀다. 총소득과 1인당 개인소득도 각각 2700만원, 2000만원으로 광역자치단체 중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구의 상용직 비중은 2021년 71.5%로, 2014년 대비 11.0% 상승했다. 상용직 근로자 월평균 임금은 2021년 309만원(전국 15위)으로, 2014년 대비 연평균 4.0% 오르는 등 전국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대구산업은 2019년 부가가치 기준 제조업 11조 2000억원(21%), 서비스업 39조 2000억원(73%)으로 대도시형 산업구조를 보였다.
지역 주요산업의 2014년 대비 2019년 차별적성장률의 경우 종사자수 기준 에너지(5.8%p), 물(5.7%p), 로봇(4.0%p) 산업이 전국대비 높은 차별적 성장을 보였다. 부가가치 기준으로는 에너지(18.2%p), 의료(13.7%p), 로봇(8.6%p), 물(3.7%p), 자동차(2.5%p) 산업이 전국대비 높은 차별적 성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4차 산업혁명 대응 및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5+1신산업 중심으로 산업육성을 본격적으로 추진, 5+1신산업을 중심으로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부가가치는 전국 대비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등 고성장 추세를 보이며, 산업 육성정책의 가시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새정부 정책기조인 디지털 플랫폼 정부 아래 대구를 디지털 데이터산업 거점도시로 조성해,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선점, 주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대구에서 나고 자란 청년들이 미래를 꿈꾸며 살 수 있는 생활터전을 제공하고, 나아가 대구시민 모두의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대구시 구성원 모두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