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4일 (월)
검찰 ‘세월호 특조위 방해’ 혐의 朴정부 인사 1·2심 무죄에 상고

검찰 ‘세월호 특조위 방해’ 혐의 朴정부 인사 1·2심 무죄에 상고

기사승인 2024-04-29 19:49:32 업데이트 2024-04-29 19:49:51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활동을 방해한 혐의로 기소된 이병기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23일 오후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2심 선고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검찰이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활동을 방해한 혐의로 기소된 이병기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 박근혜 정부 고위직에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에 불복해 상고했다.

서울고검은 외부 위원들로 구성된 상고심의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29일 이 사건에 대해 상고를 제기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객관적인 사실관계가 대부분 인정됐고 피고인들에게 특조위의 활동을 방해하려는 고의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며 “피고인들의 행위로 특조위가 제대로 된 조사를 할 수 없었던 사실이 인정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3일 서울고법은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로 기소된 이 전 비서실장, 현기환 전 정무수석, 현정택 전 정책조정수석, 안종범 전 경제수석 등 9명에게 1심과 같이 무죄를 선고했다.

직권남용 고의가 인정되지 않고 특조위원장의 조사 권한이 직권남용의 보호 대상인 ‘권리’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유다.

상고심의위 위원들은 지난 26일 회의에서 증거관계와 법리상 상고심의 판단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상고심의위는 무죄 사건에 대한 검찰의 '기계적 상고'를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대검찰청 예규인 형사상고심의위 운영지침에 따르면 1·2심에서 각각 공소사실 전부에 대해 무죄가 선고된 사건에 대해 상고하려면 상고심의위 심의를 거쳐야 한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김건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붕괴 나흘째 ‘광명 신안산선’…주민 대피명령에 학교는 휴업

신안산선 붕괴 사고 나흘째인 14일 현장 실종자 수색을 위해 소방당국이 밤샘 작업을 벌였다.이날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소방당국은 전날 오후 2시 10분 수색 재개를 위해 상부 안전펜스 및 낙하물 제거 등 조치에 돌입했다. 이어 오후 10시쯤 굴삭기 3대를 배치, 구조작업 위치 경사면을 확보했다. 40여분 뒤에는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덮개 작업을 마무리했다. 밤샘 작업에 이은 수색은 이날 오전까지 계속되고 있다. 지난 11일 오후 3시 13분 포스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