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1주일간 열리는 이번 대회는 한국군과 외국군 4개 팀(미국·호주·우즈베키스탄·캄보디아) 등 총 13개 팀 500여 명의 장병들이 참가해 그동안 갈고 닦은 전투기량과 팀워크를 마음껏 발휘했다.
이번 경연대회는 우방국과 군사교류 및 우호를 증진 시키고,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는 대한민국 육군 과학화전투훈련 체계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해 마련됐다.

개회식을 주관한 박안수(대장) 육군참모총장은 "자유·평화·번영의 가치는 ’강력한 힘‘을 통해 수호할 수 있다"며 "각국을 대표하는 자랑스러운 전사로서 그동안 갈고 닦은 전투기량과 팀워크를 마음껏 발휘하고, 군인으로서 전우애와 우정을 나눔은 물론, 참가국 간의 군사협력과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각국을 대표해 참가한 장병들을 격려했다.

'국가대항 전투'는 무작위 추첨을 통해 팀별로 모의전투를 벌일 상대 4개 팀을 선정했다.
단, 상대적으로 출전팀이 많은 한국군의 경우 일부 대진표를 조정해 모든 출전팀이 외국군과의 전투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중대 연합전투' 역시 무작위 추첨을 통해 3개 팀을 합쳐 1개 중대로 편성했다. 각 중대는 국가별 합의를 통해 중대장을 선정하고 작전계획을 수립해 교전을 실시해 소부대 연합작전에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숙달할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전투경연대회 훈련장은 실전성 극대화를 위해 최근 전쟁 양상과 한국의 지형 특성을 고려해 도시지역·산악지역·갱도지역으로 구성하였으며, 마일즈장비(소총, 수류탄, 박격포 등), 정찰드론, 야간투시경 등 각종 소부대 전투장비를 투입해 치열한 모의전투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전투경연대회 훈련장은 실전성 극대화를 위해 최근 전쟁 양상과 한국의 지형 특성을 고려해 도시지역·산악지역·갱도지역으로 구성했으며, 마일즈장비(소총, 수류탄, 박격포 등), 정찰드론, 야간투시경 등 각종 소부대 전투장비를 투입하여 치열한 모의전투를 진행했다.

호주팀인 블레이크 두시(Blake Dusi/중위) 소대장은 "익숙하지 않은 환경과 기후, 지형에서 훈련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며, "전 세계에서 선별된 팀들과 대결하고 그들의 수준 높은 전투능력을 경험하면서, 기대했던 것 이상의 훈련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했다.
한편, 육군은 이번 경연대회에서 도출된 훈련 데이터와 교전 및 평가 방식들을 분석·보완하고, 참가국 장병들의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제3회 국제 과학화전투경연대회에 적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