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김영재 기자 =전북 고창의 봉덕리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이 국가 지정 보물로 이름을 올렸다.
21일 고창군에 따르면 문화재청이 고창 봉덕리 1호분과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금동신발’을 보물로 지정했다.
문화재청은 고창 봉덕리 1호분과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 2건을 비롯해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 등 총 3건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1500여 년 전 한국 고대인들의 상장례(喪葬禮)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 유물이다. 한 쌍으로 출토된 금동신발은 백제 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삼국 시대 고분 출토 유물 중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은 국보나 보물로 상당수 지정됐으나 금동신발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마한 백제권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은 공주 무령왕릉을 비롯해 화성 요리, 원주 법천리, 공주 송산리, 공주 수촌리 등지에서 출토된 총 19점이 알려져 있다.
금동신발은 고구려‧백제‧신라‧가야 등 삼국 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고대 금속공예품 중 하나다. 비슷한 시기의 중국 유적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고, 일본의 고분에서는 유사한 형태의 신발이 출토된 사례가 있으나, 이는 우리나라에서 전래된 것이다.
보물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전북 고창 봉덕리에 자리한 4기의 대형 분구묘(墳丘墓, 분구를 조성한 다음 그 안에 매장시설을 설치하는 무덤양식) 중 규모가 가장 큰 1호분의 제4호 석실에서 2009년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가 발굴했다. 4호 석실에서 출토된 금동신발 한 쌍이 무덤 주인공의 양쪽 발에 신겨진 상태로 세상에 나왔다.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장례 때 의례용으로 사용된 신발로 백제 시대의 전형적인 형태와 문양을 보여준다.
특히 고창 봉덕리 1호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은 지금까지 백제 시대 고분에서 나온 19점의 금동신발 중 가장 완벽한 형태를 보여준다.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과 비교했을 때 어자무늬(魚子文, 물고기 알 문양) 등 삼국 시대 초기 문양이 확인돼 시기적으로 앞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무령왕릉의 왕과 왕비의 신발과 마찬가지로 바닥판과 좌우측판, 발목깃판으로 구성되고 바닥에 징(스파이크)을 박은 백제 금동신발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어 백제의 중앙 권력자가 제작해 왕의 힘을 과시하고 지방 수장의 위신을 세워주기 위해 지방 유력 지배층에게 내려준 ‘위세품(威勢品)’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백제시대 의례용 금동신발로, 보기 드물게 원형을 갖춰 출토된 중요한 고대 금속공예품이자, 다양하고 뛰어난 공예기법을 이용해 제작된 것으로, 5세기 중반 백제 미술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jump022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