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배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래세대위원회 공동위원장(건국대 교수)은 2일 청년과학기술인을 ‘국가대표’에 비유했다. 국가가 앞장서서 보호, 육성해야 할 자산이며, 그들의 성공이 곧 국가발전과 위상으로 직결된다고 박 위원장은 믿는다.
현실은 그러나 녹록하다. 총명한 인재임에도 진로에 불안을 느끼고 연구자를 포기하는 사례가 많다. 박 위원장은 신진 과학자를 위한 신분 보장과 정기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박 위원장은 이날 오후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청년과학기술인포럼’에서 “신진과학자들이 학위과정에서 받은 훈련으로 전문성이나 연구역량이 뛰어나지만 대부분 직업적 불안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박 위원장은 “이들이 연구역량을 극대화하고 창의적 연구에 몰두하려면 안정적인 신분 보장과 경제적 지원확대가 필요하다”라며 “프로젝트 기반 보다는 장려금(Grant)기반 지원확대가 필요하지 않나 조심스럽게 제안해본다”고 밝혔다.
정부는 2019년부터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 일환으로 ‘이공분야 대학원생 학술연구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다만 지원대상이 박사 과정으로 제한돼있고 지원과제도 연간 30개 내외로 국내 이공계대학원생 수를 고려하면 턱 없이 부족하다. 수혜기간도 1~2년으로 짧아 학위과정을 충분히 커버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연간 지원금액도 2000만 원이다.
미국만 하더라도 관련 사업 수혜 대상이 이공계 석사과정으로 넓다. 연간 과제(2100개)도 한국보다 7배 많다. 지원기간은 3년이며, 지원금액도 4900만원이다.
참석자들은 여성과학기술인을 위한 복지강화도 주문했다. 홍아름 경희대 교수는 “여성기술인이 경력단절을 겪지 않고 연구를 이어가려면 환경이 조성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장혜리 씨(서울대 박사과정)는 “육아기 여성 연구자를 위한 단축근무나 대체인력 채용 등 경력 복귀 사업이 추진 중이지만 제도운영도 지원도 덜하다”라며 “여성과학자 경력확대와 이음문화가 개선돼야한다”고 말했다.
최동혁 씨(카이스트 박사과정)는 “대학원생을 위한 연구교류 장(場)이 부족함을 느꼈다”고 말했다. 최 씨는 “사색에서 지식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 연구자와 교류하면서 발견되는 경우도 봤다”며 “대학원생끼리 상호 멘토링을 하거나 해외 학술대회나 국내 대회에 개인 자격으로 참석할 수 있다면 대학생들이 교류하기 좋은 여건이 마련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참석자들은 아울러 △대학원 수직문화 개선 △멘토링 프로그램 지속성 유지 △청년과학기술인간 교류협력 확대 △장기적 관점의 연구개발 투자 △진로 다양화와 연구실 정보개방 등을 건의했다.
포럼에 참석한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과학기술계로 오면 큰 비전이 있다”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원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여러분이 원하는 직업을 갖도록 제도를 개선 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수 인재 확보 방안에 관해선 “어떻게 하면 과학기술 분야로 젊은 인재로 모이게 할 것인가가 과제다. 시기적으로 보면 논의해야할 아주 중요한 토픽”이라며 “과학기술 영향력이 앞으로 커질 것이고 좋은 일자리도 생길 거라고 생각한다. 세계와 인류에 공헌해야겠다는 포부를 갖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 장관은 또 “청년과학기술인이 경제적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와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