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화)
잊을 만하면 '불'…대구경북 전통시장 '비상'

잊을 만하면 '불'…대구경북 전통시장 '비상'

기사승인 2016-11-30 10:50:04 업데이트 2016-11-30 10:50:14

[쿠키뉴스 대구=김덕용 기자]30일 새벽 2시 8분께 대구시 중구에 있는 서문시장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화재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상인들은 망연자실한 모습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서문시장은 2005년 큰 불이나 수천억의 재산피해가 났지만 또 다시 화재가 나 상인들조차도 몸서리 치고 있다.

최근 3년간 발생한 주요 사례를 보면 2013년 3월 경북 최대 전통시장인 포항 죽도시장에서 불이 나 1억원이 넘는 물품이 잿더미가 됐다.

2015년 3월 대구 평화시장, 9월 대구 교동시장에서 불이 잇따랐고 추석 당일인 그해 9월 27일에는 경주 중앙시장에서 불이 나 소규모 점포 40곳이 타 3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그 때마다 소방당국은 순찰을 강화한다거나 안전점검을 철저히 한다는 등 부산을 떨었지만 전통시장 화재는 좀처럼 숙지지 않고 있다.

국민안전처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여간 대구 30여건 등 전국에서 전통시장 화재 발생이 300건을 넘었고 인명 피해가 10여명, 재산피해는 4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흥섭 경북대 교수는 "전통시장은 건물이 낡고 가게가 붙어 있어 불이 나면 언제든지 대형화재로 번질 수 있다는 지적을 늘 받지만 사실상 붕괴 위험이 있지 않는 한 건물 현대화는 좀처럼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러다 보니 소방당국이 나서 순찰 강화, 소방전·소방용수 점검, 출동로 정비, 상인 합동훈련 등을 실시하는 것 외에 별다른 대책이 없다.

여기에 상인들의 화재보험 가입률이 극히 저조해 피해를 떠안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날 서문시장 화재 피해 상인 대부분도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통시장이라는 특성 탓에 보험회사들이 이들의 보험 가입을 잘 받아주지 않기 때문이라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관계 당국과 가스, 전기, 건물안전 등 점검을 철저히 하는 한편 상인 보험 가입을 돕는 등 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sv101@kukinews.com

김덕용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트럼프 관세’가 게임업계에 불러올 딜레마

국내 게임업계가 딜레마에 놓였다. ‘보장된 시장’ 중국과 ‘기회의 땅’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게임업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에 최대 14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대(對) 중국 기조가 거세짐에 따라 관세 범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