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24일 (월)
광양만권 HRD센터, 플랜트산업 고숙련 인력양성과정 교육생 모집… 청년취업난 극복 방안 떠올라

광양만권 HRD센터, 플랜트산업 고숙련 인력양성과정 교육생 모집… 청년취업난 극복 방안 떠올라

기사승인 2015-02-12 15:22:55

[쿠키뉴스=김민석 기자] 특수 용접 교육을 무료로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 이후 취업까지 알선해 주는 사업이 진행돼 주목된다.

광양만권 HRD 센터는 ""'안착2040 플랜트산업 고숙련 인력 양성사업'을 통해 지역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광양만권 HRD 센터는 고용노동부로부터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사업을 위탁받아 진행 중인 전문 인력 양성기관으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고용 노동부가 평가한 각종 지표에서 연속 A 등급을, 2014년에는 S등급을 받았다.

각종 산업 현장에서 전문 기술을 갖춘 젊은 일꾼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어 해당 사업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기술직 숙련공들의 평균 연령대가 점점 높아지는 추세다. 산업 현장의 평균 연령 증가는 생산성 하락과 각종 사고 발생 빈도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들도 최근 화이트칼라 일자리에서 눈을 돌려 기술직 전환을 꾀하고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의 통계에 따르면 5년간 특수용접기술사 자격 응시 인원이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수 용접 기술이 조선, 철강 등 각종 근간 산업에 반드시 필요할 뿐 아니라 해외 취업 및 이민에도 용이한 자격증으로 각광받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캐나다에서 용접공과 배관공은 이민 직종 중 최상위권에 속한다. 호주 역시 최근 가스전 개발로 용접공 수요가 높아져 이민이 더욱 용이해진 상태다. ideaed@kmib.co.kr
김민석 기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고물가 속 가성비가 대세…대형마트·편의점 ‘PB 전쟁’ 활활

고물가 현상이 지속되면서 가성비를 앞세운 자체브랜드(PB) 상품 수요가 늘고 있다. 대형마트, 편의점 등 유통업계는 브랜드 개편과 신제품 출시 등을 통해 PB 상품 강화에 나서고 있다.24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은행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서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5.2로, 전월 대비 4.0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해 12월 계엄 사태 여파로 12.3포인트 하락했지만 지난달 3.0포인트 반등한 데 이어 이달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