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 증원 정책에 반발해 집단 사직한 전공의들이 병원에 복귀하더라도 필수의료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선 적어도 10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필수의료과 의사가 점차 줄어들고 수련교육을 완전히 포기하는 전공의가 증가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7일 스위스 그랜드 호텔에서 개최된 대한내과학회 기자간담회에서 내과 교수들은 “필수의료가 위기에 처했다”고 입을 모았다. 수련을 포기하는 전공의(인턴·레지던트)가 속출해 전문의가 부족해질 수 있단 것이다.
박중원 내과학회 이사장(세브란스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은 “최근 의료 사태는 필수의료에 악영향을 줬다”며 “이른바 ‘내·외·산·소’(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라고 하는 필수의료과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려면 못해도 10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련병원에서 수련교육을 받는 전공의가 점차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의대생이 수련 없이 의사 자격증을 취득한 뒤 곧바로 일반의로 개원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박 이사장은 “정부는 전문의 병원으로 전환하자고 하지만 지금도 상당수의 의대 졸업생이 인턴을 하지 않는 상황”이라며 “전문의와 일반의의 의료수가 차이가 크지 않은데 누가 전문의를 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양철우 회장(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도 필수의료 위기를 해결할 근본적인 대책이 없다면 전공의가 돌아오더라도 병원이 제 기능을 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양 회장은 “2000년 의약분업 파업 때와 상황이 다르다. 그땐 전공의가 다 복귀했지만 현재로선 그럴 가능성이 희박하다”면서 “필수의료를 정상적으로 회복하기 위해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대중 수련이사(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전공의들이 올해 복귀하지 않는 최악의 상황까지 감안해 정부가 대비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수련이사는 “전공의 없이 돌아가는 병원 시스템을 갖추지 않으면 결국 지친 교수들이 하나둘 떠날 테고 이는 더 큰 재앙을 불러올 수 있다”며 “정부는 전공의가 돌아올 것이란 희망만 갖고 변화 없이 버틸 게 아니라 의료계와 함께 대책 마련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역설했다.
전공의가 떠난 병원을 지키고 있는 교수들의 피로도는 높아진다. ‘빅5 병원’으로 불리는 서울시 내 주요 대형병원 5곳(서울대·세브란스·서울아산·삼성서울·서울성모병원)의 교수들은 개별적 사직에 나서고, 주 1회 진료와 수술을 중단하겠다며 ‘셧다운’을 공식화했다.
강석민 총무이사(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교수이기 이전에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이기 때문에 예약 환자마저 안 보는 양심 없는 의사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사태가 장기화되면 의료의 질 저하는 자명하고 상황은 더 나빠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조속한 사태 해결을 위한 대한의학회 차원의 움직임도 보인다. 김 수련이사에 따르면 대한의학회는 최근 전체 전문 학회 수련이사를 소집해 정부 설득 방안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진행했다. 의학회는 전문 학회들의 중지를 모은 정책보고서를 만들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 수련이사는 “내과학회는 관련 논의에 참여해 정부를 어떻게 설득할 것인지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