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장충남 군수와 남성준 다자요 대표 등을 비롯한 군 관계자 등이 모인 가운데, 공유숙박 플랫폼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한 논의의 장이 펼쳐졌다.
'다자요'가 추진하는 공유숙박 플랫폼 사업은 빈집을 리모델링해 숙박업소로 활용하면서 10년 후에는 해당 주택을 원 주인에게 돌려주는 시스템이다. 지난 2018년 제주도에서 시작돼 새로운 공유경제 모델로 각광을 받고 있다.
'다자요'는 제주도에서 사라져가는 전통 돌담집을 개조해 숙박 업소로 활용했는데, 여행지 고유의 삶의 흔적을 느끼며 편안한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최근 여행 트렌드와 맞아떨어지면서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집주이이 거주하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탓에 '농어촌 정비법' 위반에 걸리게 된다. 앞서 '타다' 등의 경우처럼 새로운 공유경제 시스템이 현실법과 상충하면서, 정부에서도 적극 권장하고 있는 신 스타트업이 좌초될 위기에 놓인 셈이다.
다행히 정부는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다자요' 시스템을 3년 간 5개 지자체에서 50채를 시범모델로 운영할 수 있는 '한걸음 모델' 방안을 내놓았다. 이로써 그나마 숨통이 트이게 된 '다자요'는 공유숙박 플랫폼이 적합한 지자체를 물색하고 있던 중 그 첫 방문지로 남해군을 선택된 것이다.
군과 '다자요'는 이미 3년 전부터 농어촌 빈집재생 정책 수립과 관련해 인연을 맺어왔기에 '공유숙박 플랫폼' 사업 관련 논의 역시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무엇보다 다자요의 공유숙박 플랫폼이 현실법에 막혀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빈집 재생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절실하게 인식하고 있던 남해군은 규제 해소를 위한 입법 토론회에 참석하는 등 공유숙박 플랫폼 사업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왔다.
군은 '다자요'와 협업을 통해 단순한 빈집 재생을 통한 숙박업 활성화 뿐 아니라, 관광분야 창업 기업 유치와 청년 정착 지원 등 군의 청년·관광 정책과 광범위한 융합이 가능하다고 내다보고 있다.
남성준 대표는 "숙박업소의 이윤 일부는 마을 기금으로 활용되며, 부가적인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더 나아가 마을 주식회사 설립 등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남해군의 청년·귀농 정책과 다자요의 공육숙박 플랫폼 사업이 시너지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고 있다.
장충남 군수는 "남해의 고유한 옛 주택이 철거되지 않고 새로운 주택으로 탄생하는 모델이 마을 전체로 확산될 수 있는 마중물 역할이 기대된다"며 "새로운 펜션 등을 짓게 될 경우 발생하는 산림 훼손 등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기대했다.
한편, 남해군은 귀농·귀촌인에게 저렴한 임대료로 빈집을 제공하거나 리모델링 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귀농·귀촌의 집 정책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군내 빈집 현황은 953채인 것으로 파악된다.
kk77@kukinews.com